대학원
교과목소개
교과목소개
 전자공학과 대학원 교과목소개
이수
구분
교과목
번 호
교 과 목 명 교 과 목 명(영문) 학점
전공
필수
1733005 논문연구 I Research for the Master's Degree I 3
1733006 논문연구 II Research for the Master's Degree II 3
전공
선택
1324042 디지털 신호처리 Digital Signal Processing 3
1324043 디지털 통신 Digital Communication 3
1324044 랜덤신호처리 Random Signal Processing 3
1324047 신호 및 시스템이론 Circuits and System Theory 3
1324050 이동통신 시스템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
1324054 의료공학 Biomedical Engineering 3
1324055 레이저공학및 응용 Laser Engineering and Applications 3
1324046 병렬처리 Parallel Processing 3
1324051 전자계산기구조특론 Advanced Computer Architecture 3
1324053 디지털시스템설계특론 Advanced Digital System Design 3
1324040 광통신공학 Optical Communication Engineering 3
1324048 안테나공학 Antenna Engineering 3
1324033 현대제어공학 Modern Control Engineering 3
1324034 로봇응용특론 Advanced Robot Application 3
1324036 고급인터넷프로토콜 Advanced Internet Protocol 3
1324035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 Mobile Internet Protocol 3
1324049 음성신호처리 Speech Signal Processing 3
1324041 대규모 집적회로 설계 VLSL Design 3
1324045 반도체공학특론 Advanced Semiconductor Engineering 3
1324037 응용양자역학특론 Applied Quantum Electronics 3
1324052 초전도 전자공학 Superconductor Electronics 3
1324038 박막트랜지스터공학 Thin Film Transistor Engineering 3
1324039 나노센서공학 Nano Sensor Engineering 3
합계 75
1733005, 1733006 논문연구(Research for the Master's Degree)Ⅰ,Ⅱ
전공별로 석사학위 청구논문을 논문지도 교수의 지도하에 논제를 설정하고 이론을 전개하며 실험을 통하여 완성하고 심사한다.
1324042 디지털 신호처리(Digital Signal Processing)
Spectral Density, Linear Functionals of Random process, Gaussian(or Normal) Random Process,
Detection of Known Signals, Parameter Estimation등 신호처리 응용분야 등에 대하여 연구한다.
1324043 디지털 통신(Digital Communication)
음성, 영상, 각종 데이터 등의 신호를 A/D 변환에 의해서 디지털 부호화하고 각 단말, 컴퓨터 등에서 정보 의 가공이 이루어져서 그 출력을 효율적으로 정확하게 전송하는 여러 가지 방법을 수학적으로 모델화해서 특성을 해석하고 비교 연구한다.
1324044 랜덤신호처리(Random Signal Processing)
사상과 확률, 랜덤변수, 다원랜덤변수, 랜덤과정 통계적 추론, 검파이론 등을 다루고 데이터 처리, 파형조 작 분석 등에 대하여 연구한다.
1324047 신호 및 시스템이론(Circuits and System Theory)
이산신호의 본질과 변환, 신호함수의 해석, 시스템의 개요, 차분시스템 및 시스템의 상태해석법 등에 대하 여 SIGSYS Interpreter를 이용한 Computer 해석법을 다루고 디지털 필터 설계, 통신 및 Feedback 제어계 등에 응용되는 내용을 연구한다.
1324050 이동통신 시스템(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강좌에서는 셀룰러(Cellular) 이동통신망 구축에 따른 이동장치, 기지국(Mobile Base Station), 제어국 (Control Station)의 역할과 QPSK, MSK, TFM 등을 포함하는 Cellular Digital 변복조 기술에 대해 연구한다.
1324054 의료공학(Biomedical Engineering)
생체신호의 발생, 센서의 원리와 종류, 생체신호의 측정 및 처리(심전도, 뇌파, 혈압, PPG)에 대하여 고찰 한다. 또한 지문이나 홍체 인식등의 생체계측(biometrics), 혈액이나 요 성분 분석을 위한 임상분석 기술에 대하여 알아본다. 의료기기의 전기적 특성 및 제품으로 출시하기 전까지 다양한 테스트 조건에 대하여 고찰한다.
1324055 레이저공학및 응용(Laser Engineering and Applications)
광학의 기초이론을 습득하며, 레이저의 원리, 구조, 종류 별 특징에 대하여 공부한다. 또한 광소자, 광기술 과 레이저에 의한 시스템 구성에 대하여 공부하며 이를 이용한 정밀 계측, 가전(consumer electronics), 정보 장치, 디스플레이, 의료, 가공 분야에서의 사용 원리와 특성에 대하여 다룬다.
1324046 병렬처리(Parallel Processing)
병렬처리의 개념, 필용성, 이론 등을 토대로 병렬처리 아키텍처, 병렬처리 시스템의 구성 예, 병렬처리를 위한 알고리즘, 다단 상호접속망 등에 관한 지식을 습득한다.
1324051 전자계산기구조특론(Advanced Computer Architecture)
컴퓨터시스템개론, 연산제어 아키텍처, 메모리 아키텍처, 입출력 아키텍처에 관한 지식의 습득 및 새로운 컴퓨터 아키텍처를 이해하고 설계하는 능력을 기른다.
1324053 디지털시스템설계특론(Advanced Digital System Design)
디지털시스템의 설계에 있어 하드웨어 설계 알고리즘 및 구현방법, 인터페이스 설계, 디지털시스템의 신뢰 도 향상, 테스팅, 검증 등을 다룬다.
1324040 광통신공학(Optical Communication Engineering)
레이저의 발진원리, 빔의 특성, 광섬유의 전송특성, 광의 변조 및 복조, 광송수신 시스템등을 연구한다.
1324048 안테나공학(Antenna Engineering)
안테나의 제정수와 특성, 선형안테나, 급전선, 안테나의 측정기술 및 전파를 연구한다.
1324033 현대제어공학(Modern Control Engineering)
현대제어시스템의 해석및 설계 방법을 다루고, 제어응용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
1324034 로봇응용특론(Advanced Robot Application)
로봇의 기구학, 동역학 및 제어 이론을 다루고, 로봇 응용 및 기술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
1324036 고급인터넷프로토콜(Advanced Internet Protocol)
인터넷 통신 프로토콜에 대해서 강의한다. TCP/IP 프로토콜의 기본 구조와 주소 체계에 대해서 설명을 하 고 ARP, RARP, IP, ICMP, IGMP, UDP 그리고 TCP 프로토콜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Qos와 멀티캐스트 라우팅에 대해서도 강의를 한다.
1324035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Mobile Internet Protocol)
단말의 이동을 지원할 수 있는 mobile internet protocol에 대해서 강의한다. IPv6와 ICMPv6에 대해서 설명 을 하고 mobile IPv6에 대해서 다룬다. Security에 대한 기본 개념을 설명하고 mobile IPv6에서의 security 에 대해서 다룬다.
1324049 음성신호처리(Speech Signal Processing)
음성신호의 개념을 파악하고, 음성합성 및 음성 인식 등을 다루고 그에 대한 응용에 대하여 연구한다.
1324041 대규모 집적회로 설계(VLSL Design)
초대규모 집적회로의 설계와 각 집적회로 제작과 관련된 단위공정의 새로운 특수과제를 중심적으로 다룬다.
1324045 반도체공학특론(Advanced Semiconductor Engineering)
고체물리학적 관점에서 반도체이론을 다루고, 그 응용소자의 설계 및 시뮬레이션을 대상으로 한다.
1324037 응용양자역학특론(Applied Quantum Electronics)
양전자 및 고체물리 이론을 위한 양자역학을 취급한다. 상태함수와 연사자, 변환이론, 대창성 및 군론, 상 태방정식, 밀도행렬에 관해 배운다.
1324052 초전도 전자공학(Superconductor Electronics)
초전도 매커니즘, B.C.S이론, 극저온 금속 초전도 및 저온 산화물 초전도, 초전도 디바이스 및 그 용용분야 를 새로운 연구중심의 과제로 다룬다.
1324038 박막트랜지스터공학(Thin Film Transistor Engineering)
최신의 박막트랜지스터는 비정질 실리콘뿐만 아니라 새롭게 연구되는 산화물 반도체 및유기 반도체 등을 이용하므로 다양한 제작 방법 및 응용분야가 연구되고 있다. 본 수업에서는 디스플레이와 플렉서블 회로 등에 사용되는 박막트랜지스터의 공정과 동작 특성 및 모델링을 다룬다. 또한, 모바일 응용분야를 포함한 기존의 단결정실리콘 응용분야 등에 박막트랜지스터를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 등을 포함한다.
1324039 나노센서공학(Nano Sensor Engineering)
최근 생명공학은 여러 학문 분야와 교류를 통해 새로운 연구 및 산업 분야를 창출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결 과로 생명공학은 BIT (Bio-Information Technology)라는 분야로 발전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나노 기술이 더해져 BINT (Bio-Information Nano Technology)로 진화하고 있다. 나노센서공학 수업에서는 BINT 분야 중에서 전자공학의 관점에서의 나노 공정 기술과 분석 기술, 나노센서의 동작 특성 등을 공부한다.

Quick Menu

  • 학사공지
  • 도서관
  • 입학안내
  • e-Class(강의)
  • 학생포탈
  • 과기대 챗봇
  • 인터넷증명발급
[01811] 서울 노원구 공릉로 23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전자공학과 TEL : 02-970-6452, 6480 FAX : 02-970-9733
Copyright (c)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ll Rights Reserved.